장내 미생물의 정체 우리가 모르는 제 2의 유전자
장내 미생물의 다양성이 클수록 대사 능력, 인슐린 감수성, 지방 분해율이 높고, 반대로 미생물군이 단순화된 사람은 비만, 당뇨, 우울증 등 만성질환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인간 장에는 약 100조 개 이상의 미생물이 존재하며, 이들은 소화, 면역, 호르몬 분비, 뇌 신경전달물질 생성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합니다. 특히 주목할 점은 이 미생물들이 ‘개인 고유의 생태계’를 이루고 있다는 것입니다. 마치 지문처럼, 장내 미생물 구성은 사람마다 다르고, 식습관, 환경, 나이, 약물 복용 이력 등에 따라 변화합니다. 이 다양성은 단순한 미생물의 종류 개수가 아니라,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균주의 균형을 의미합니다. 연구에 따르면 장내 미생물의 다양성이 클수록 대사 능력, 인슐린 감수성, 지방 분해율이..
2025. 6. 17.